본문 바로가기

OS/Linux&Ubuntu3

Ubuntu 18.04 Netplan을 사용한 네트워크 설정 들어가며,, 때는 무려... 20년도 10월.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예산으로 서버를 한대 구입했다. RTX 5000 8장과 SSD(3.84TB) 2장, 인텔 제논 괜찮은 CPU 2장짜리!! 3.84TB SSD... 든든쓰... 나중에 CPU 메모리 적을때 SWP 할당해서 쓰면 좋을 것 같다. 각설하고.. 이번 포스팅은 새로 구입한 서버의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한 경험을 기록하겠다. 서버는 Ubuntu 18.04 ver 이다. 기본적인 세팅은 서버를 판매한 회사에서 완료했기 때문에 (CUDA 설치 및 GPU 활성화) root 비밀번호 설정 및 새로운 env id 설정을 진행했다. (해당 사항은 스킵한다.) 참고로 우분투는 17.10 ver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이 NetPlan이라는 새로운 네트.. 2022. 8. 19.
Server에서 server로 파일(or 폴더)을 옮기고 싶을 때 들어가며,, 많은 사람이 여러 서버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기존에 사용하던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를 사용해야할 때가 많다. 그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 영역은 기존에 사용하던 서버에 욌는 파일을 옮기는 일이다. 이 명렁어를 모를 때는 기존에 사용하던 서버의 파일들을 압축하여 내 컴퓨터 local에 저장한 뒤, 앞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서버에 옮겨 압축을 풀고 작업을 했다. 이러한 process에 걸리는 시간을 반토막 내줄 수 있는 명령어를 본 포스팅에서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Server to Server move~~ a 서버에서 b 서버의 file을 받고 싶을 때, a 서버에서 command를 입력해도 되고, b 서버에서 command를 입력해도 된다. 먼저 rsync 설치 및 실행을 해주자. # 설치 apt.. 2022. 8. 12.
Linux container sudo 권한 및 root 권한 부여 들어가며,, 본 포스팅에서는 필자가 자주 사용하는 Linux 커멘드를 정리했다. (사실 외우기 귀찮아서 정리한 거다..) 상황 원격으로 Linux os의 서버를 여러 명이 사용하다보면 각자 container를 따로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서로의 작업 경로를 구분하여 원활한 개발을 위함이다. 이때 만들어 놓은 container에 들어가면 root 권한이 없어 permission denied 에러가 발생하곤 한다. 이때 어떻게 해야 내가 원하는 파일을 설치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First step: root로 container 접근 sudo docker exec -i -t --user root ["container_name"] bash 먼저 container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하자. 이는 .. 2022.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