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er area/Study4

[쿠버네티스] kubectl 명령어 정리 개발자와 협업 중 쿠버네티스로 관리되는 API 를 사용하는 상황이 생겼다. 무언가 안 될때마다 찾아가는 건 비효율적이라 생각해서 적어도 무엇이 문제인지 알자.! 는 취지로 명령어를 사용했다. 그때 사용한 명령어를 복습차 정리한다. 명령어 간단 정리 쿠버네티스 Version 확인 kubectl version 리소스 생성 ( yaml 파일을 이용 ) kubectl apply -f {파일명} 리소스 목록 확인 kubectl get po # Pod 조회 (리소스 리스트 조회) kubectl get svc # Service 조회 kubectl get deploy # Deployment 조회 kubectl get all # 전부 조회 리소스 상세 조회 kubectl get po # Pod 조회로 이름 검색 kube.. 2023. 11. 5.
API 기초 이해하기 출처: brunch story 님의 블로그 개발자와 일하다보면 용어의 충돌이 발생한다. 간단한 예시로는 데싸가 말하는 아키텍처와 개발자가 말하는 아키텍처의 정의는 다르다. 이러한 용어를 이해할겸, 이러한 용어가 사용되는 분야(?)를 이해할겸 설명이 잘 된 블로그 글을 참고했다. (거의 똑같이 복붙했다.) 해당 블로그는 디자이너로 일하는 분의 블로그로 비개발자의 시선으로 설명이 아주 잘 되어 있다. API 기초 이해하기 를 참고하길 바란다.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란? API 는 키보드로 설명할 수 있다. 우린 키보드를 통해 컴퓨터를 동작한다. 키보드의 버튼을 누르면 → 키보드에서 컴퓨터로 전달되고 → 스크린에서 텍스트를 볼 수 .. 2023. 10. 29.
[키워드] 개발자 용어 정리 2 UseCase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uresofttech&logNo=220845781030 유스케이스는 시스템의 동작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표현한 시나리오이며, 시스템에 관련한 요구사항을 알아내는 과정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중 개발을 위한 스프트웨어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방법이기도 하다. 유스케이스는 시스템을 분석하는 사람과 사용할 사람이 함께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결정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유스케이스를 작성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시스템을 개발하는 사람보다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게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IFrame Message http://blog.302ch.. 2022. 9. 1.
[키워드] 개발자 용어 정리 inline frame(iframe) https://velog.io/@beomjourr/inline-frameiframe%EC%9D%B4%EB%9E%80 inline frame(iframe)이란 오늘은 iframe (inline frame)을 사용하기 전에 iframe에 대해 이해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웹 페이지 안에 어떠한 제한 없이 또 다른 하나의 웹 페이지를 삽입할 수 있는 요소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 velog.io 웹 페이지 안에 어떠한 제한 없이 또 다른 하나의 웹 페이지를 삽입할 수 있는 요소 iframe을 활용하여 전혀 다른 서비스를 통합하기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면, iframe의 사용(남용)을 권고하지 않는 듯 하다. 대신, ajax를 사용하라고 한다. MessageChannel API.. 2022. 8. 4.
반응형